주4일제 도입. 선택과 집중이 필요해!
4일 근무… 세대갈등·산업별 새로운 패러다임? 미래 경쟁력의 열쇠?
주4일제 논의가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에 실린 연구결과를 보면, 근무시간 단축이 생산성 하락이 아닌, 오히려 만족도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결과가 핵심입니다. 이는 단순한 근무형태의 변화를 넘어, 일하는 방식과 삶의 질, 나아가 기업문화 전반을 뒤흔들 파괴적 혁신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인재유치를 위해, 노동계는 더 나은 워라벨을 위해 주4일제를 외치고 있지만, 과연 이 변화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고민해 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721011300017?input=1195m
주 4일제 시행해보니…"번아웃 감소·직무만족 개선 효과"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임금 감소 없는 주 4일 근무제가 근로자들의 업무 수행 향상과 피로·수면 문제 감소 등으로 번아웃이 줄고 직무...
www.yna.co.kr
효율성의 새 패러다임
2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따르면, 미국 보스턴칼리지 연구팀은 6개월간 2,896명, 141개 기업을 대상으로 주4일(약 32시간) 근무, 임금 유지 조건의 파일럿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피로도 감소·수면 개선·정신·신체건강 수치가 유의하게 상승했으며, 업무 만족도도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는 “업무 재조직 → 불필요한 회의·작업 축소 → 주4일 체제”라는 선순환 구조가 핵심이라 분석했습니다.
기업 차원의 도입 시, 생산성 저하 없이 노동자 행복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긍정적 신호입니다. 그러나 연구진도 “자발 참여 기업이 많아 일반화에는 한계”라 밝혔고, 노동 절감액이 적은 중소·제조업 등 인간 자원 의존 산업에 적용 시 재정 부담, 업무 강도 증가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한국에서는 이재명 정부가 기존 주40시간을 축으로 주36시간, 즉 4.5일 근무제 추진을 공식화했습니다. 고용노동부가 ‘단축 로드맵과 4.5일제 법제화’를 준비 중이며, 대형업종에 먼저 도입하고 중소기업은 보완책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연합회 등은 “생산성 뒷받침 없이는 인건비 상승·기업 부담이 클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예상 갈등 요인
세대 간 갈등과 생산성 착시, 노동강도 증가
기존 구세대는 “근로시간=노동의 증명” 관념이 강해, 주4일·4.5일가 도입되면 업무량 분배의 문제 등으로 단위시간당 노동강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보이지 않는야근'이나 '몰아치기 근무'가 늘어나 실제 현장에서는 형식적인 4일제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도입에 따른 여러 보완장치와 충분한 소통과 절차를 거쳐 제도적 투명성 강화를 확보하는게 필요해 보입니다.
업무별, 산업별 비대칭 및 불균형
서비스·제조업 등 교대·현장 근로 중심 산업은 전면 적용이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어떤 직무는 주4일제 적용이 쉽지만, 고객 응대가 필수적인 서비스직이나 교대 근무가 필요한 곳은 도입에 많은 유연성이 필요해 보입니다. 같은 회사내에서도 맡은 업무에 따라 발생하는 비대칭과 불균형은 조직내 위화감과 갈등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사회 경제 전반의 파급효과
주4일제는 서비스업 등 주말 근무가 필수적인 업종과 관공서에는 직간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제조업의 경우 공장 가동률 하락과 인력부족 문제 유발, 임금 조정없는 근무시간 단축은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장기적으로는 예측 가능한 문제들 이외에 추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산업계 외 교육 분야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자율학습·멘토링·정신건강 케어 시간 확보가 가능해질 것이고, 학생 휴식·방과후 활동 집중 활용 유도할 수 있으며, 교사도 수업 준비 및 자기계발 시간 확보되어 교사·학생 모두에게 이득가능성 있습니다. 그러나, 가정·학급 일정의 교란 가능성이 높아지며, 맞벌이 부모의 경우 돌봄공백 발생할 수 있으며 사회 전반의 교육 형평성 악화 우려 존재할 수 있어, 토요 방과후 수업 연계·돌봄서비스 강화·지역사회 협력 등으로 돌봄 공백을 해소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4일제는 단순한 노는 날 늘리기 아니라, 구성원 삶 전체의 밸런스와 조직 혁신입니다.” — 기업 경영자
“노동계 입장에서는 임금 행방과 제도적 공정성을 동시에 담보받지 못하면 반발할 수밖에 없습니다.” — 노동계 관계자
“정부는 대기업 중심 도입보다, 중소·자영업·현장 근로자 지원책 우선 수립이 필수입니다.” — 고용노동부 고위 관계자
이제 주4일·4.5일제는 도입이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적용하고 잘 정착시킬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단계라 보여집니다. 단순히 ‘일 덜 하는 정책’이 아니고, ‘선택과 집중’이 핵심입니다. 처음부터 일률적인 적용이 어려울 수도 있고, 예상치 못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모든 구성원들은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산업별·세대별 갈등해소를 위해 성과·공정 기반 보완책과 사회 인프라 업그레이드가 동반은 필수적이며, 직종별, 직무별 다양성이 인정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해하려는 실질적인 노력도 동반되어야 하구요.
주4일제의 핵심은 '시간'이 아니라 '생산성'과 '삶의 질'의 균형완성입니다. 이러한 기본 가치 달성을 위해 충분한 논의와 제도의 유연한 도입의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노동의 값어치를 존중하고 삶의 질과 생산성의 균형 잡힌 선순환 고리를 완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 보입니다.
관련 기사·연구
주 4일제 도입 가이드: 국내외 성공 사례, 체크리스트, 장단점 - 기프티쇼 비즈 블로그
국내외 성공적인 주 4일제 도입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HR 담당자가 주 4일제를 도입할때 고려해야 할 체크리스트 및 장단점을 제공합니다. | HR
biz.giftishow.com
주4일제네트워크
뉴욕주, ‘주4일제’ 시범 도입 추진…공공·민간 대상 법안 발의(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5.06.04.) --> --> -->
www.4daynet.co.kr
https://namu.wiki/w/%EC%A3%BC%204%EC%9D%BC%20%EA%B7%BC%EB%AC%B4%20%EC%A0%9C%EB%8F%84
주 4일 근무 제도
주 4일제는 일반적으로 주말에 더해서 월, 화, 수, 목, 금 중에 하루를 지정해서 추가로 쉬는 형태로 운영된다.
namu.wiki
https://www.shoplworks.com/blog-insight/4-day-work-week-pros-cons-examples
주4일제 알아보기 (+장단점, 사례) | 샤플
주4일제는 주당 근무일수를 줄이려는 다양한 시도를 일컫는 말인데요. 지금 바로 주4일제의 뜻과 사례를 확인해 보세요! 샤플에서 주4일제를 둘러싼 핵심 쟁점을 통해 장단점도 소개해 드리고
www.shoplworks.com
◆ 출처 : Nature Human Behaviour, Wen Fan et al., 'Work time reduction via a 4-day workweek finds improvements in workers' well-being',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2-025-02259-6